-
정규화(Normalization)디지털포렌식전문가자격증 2020. 3. 16. 00:40
정규화란?
- 함수적 종속성 등의 종속성 이론을 이용하여 잘못 설계된 관계형 스키마를 더 작은 속성의 세트로 쪼개어 바람직한 스키마로 만들어 가는 과정이다.
- 하나의 종속성이 하나의 릴레이션에 표현될 수 있도록 분해해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음.
정규화의 목적
- 데이터 구조의 안정성을 최대화.
- 효과적인 검색 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음.
- 효율적인 데이터 조작이 가능.
- 데이터의 중복을성을 최소화함.
- 삽입, 삭제, 갱신이상의 발생을 방지.
정규화 과정
1NF(제1정규형)
- 1NF는 릴레이션에 속한 모든 도메인이 원자값만으로 되어 있는 릴레이션이다.
- 릴레이션의 모든 속성이 단순 영역에서 정의
2NF(제2정규형)
- 2NF는 릴레이션이 R이 1NF이고 키가 아닌 모든 속성이 기본키에 대하여 완전 함수적 종속 관계를 만족.
- 부분적 함수 종속 제거
3NF(제3정규형)
- 릴레이션 R이 2NF이고, 키가 아닌 모든 애트리뷰트가 기본키에 대해 이행적 종속관계를 이루지 않도록 제한한 관계형임.
- 이행적 함수 종속 제거
이행적 종속 관계
-> A -> B 이고 B -> C일 때 A -> C를 만족하는 관계
BCNF(Boyce-Codd 정규형)
- 3NF에서 후보키가 많고 서로 중첩되는 경우에 적용하는, 강한 제3정규형이라고도 함.
- 모든 BCNF가 종속성을 보존하는 것은 아님
- 결정자이면서 후보키가 아닌 것 제거
4NF(제4정규형)
- 릴레이션 R에 A >> B가 성립한는 경우 R의 모든 속성이 A에 함수적 종속이면 이 릴레이션R은 제 4정규형에 속함
- 다치 종속 제거
제 5정규형
- 조인 종속성 이용
'디지털포렌식전문가자격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indows Registry (0) 2020.03.21 UNIX 파일 시스템 (0) 2020.03.16 JOIN/DIVISION 연산 (4) 2020.03.15 SQL (0) 2020.03.12 키(Key) (0) 2020.03.11